조선주 너무 올랐나…국민연금, '이 종목' 쓸어담았다
- 3월 국민연금 10개 종목 보유지분 변경공시
- 한화엔진, LX인터내셔널 보유 비중 낮춰
- 관세·가격 부담 낮은 엔터·화장품株 비중 확대
- 삼성증권 등 금리인하 수혜주도 관심↑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국민연금이 조선주의 보유 비중을 줄인 반면 엔터, 화장품 관련 종목의 보유 비중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본격화한 가운데, 단기 주가 상승 부담이 크지 않으면서도 관세 리스크 영향이 적은 종목 위주로 투자 비중을 확대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선 기자재 관련주인 한화엔진(082740)의 보유 비중을 줄인 게 눈에 띈다. 국민연금은 한화엔진의 보유 지분 비율을 11.65%에서 10.97%로 0.68%포인트 축소했다. 물류 사업을 영위하는 LX인터내셔널(001120)의 보유 비중도 10.07%에서 9.67%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국민연금은 조선 및 해운·물류 관련 종목이 트럼프 수혜 기대감에 단기 급등하자 보유 비중을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주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 조선업체와 협력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국내 해운업 역시 미국이 중국 선사와 선박 관련 해상운송 서비스에 수수료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에 반사 수혜 기대감이 제기된 바 있다.
국민연금은 단기 주가 상승 부담이 덜하면서도 관세 리스크가 적은 종목으로 관심을 늘렸다. 엔터주가 대표적이다. 국민연금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의 보유 비중을 4.93%에서 5.03%로 0.1%포인트 확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음반과 공연은 물리적인 상품이 아니기에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중국 한한령(한류 금지령) 해제 기대감에 주목받았지만 관련 모멘텀이 약해지며 주가 조정 및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지자 보유 비중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현지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초부터 중국 시장 개방에 힘이 실리며 엔터 섹터에 우호적인 외부 환경이 조성됐지만 시점이 불투명해지며 관련 기대감이 소멸됐다”면서도 “여전히 중국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한 만큼 중국 시장 개방 시 공연에서 업사이드가 가장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연금은 아모레퍼시픽(090430)의 보유 비중도 6.4%에서 7.42%로 1.02%포인트 늘렸다. 국내 화장품 업체 역시 북미 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하며 관세 부과 우려가 제기됐지만, 증권가에선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관세가 부과된다고 하더라도 한국 화장품의 판매가 저조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미국이 선호하는 K뷰티의 가격군 기준 0.5~1달러 수준의 비용이 증가하는데, 소비자에게 와 닿는 차이가 별반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국민연금은 국내에서 택배 사업을 영위, 관세 리스크가 작은 CJ대한통운(000120)의 보유 비중도 11.02%에서 11.54%로 0.52%포인트 늘렸다.
이외에 한국은행은 연내 1~2회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국민연금은 금리 인하가 호재로 작용하는 종목의 비중도 확대했다. 삼성증권(016360)(12.61→13.41%), HDC현대산업개발(294870)(11.82→12.59%) 등 증권 및 건설주들은 금리가 인하되면 시장 활성화로 수혜가 기대된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이달(3월3~13일) 보유지분 변경을 공시한 종목은 10개로 집계됐다. 이 중 2개 종목은 줄였고, 8개 종목의 비중은 확대했다.조선 기자재 관련주인 한화엔진(082740)의 보유 비중을 줄인 게 눈에 띈다. 국민연금은 한화엔진의 보유 지분 비율을 11.65%에서 10.97%로 0.68%포인트 축소했다. 물류 사업을 영위하는 LX인터내셔널(001120)의 보유 비중도 10.07%에서 9.67%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국민연금은 조선 및 해운·물류 관련 종목이 트럼프 수혜 기대감에 단기 급등하자 보유 비중을 낮춘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주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 조선업체와 협력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국내 해운업 역시 미국이 중국 선사와 선박 관련 해상운송 서비스에 수수료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에 반사 수혜 기대감이 제기된 바 있다.
국민연금은 단기 주가 상승 부담이 덜하면서도 관세 리스크가 적은 종목으로 관심을 늘렸다. 엔터주가 대표적이다. 국민연금은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의 보유 비중을 4.93%에서 5.03%로 0.1%포인트 확대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음반과 공연은 물리적인 상품이 아니기에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중국 한한령(한류 금지령) 해제 기대감에 주목받았지만 관련 모멘텀이 약해지며 주가 조정 및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지자 보유 비중을 늘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현지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초부터 중국 시장 개방에 힘이 실리며 엔터 섹터에 우호적인 외부 환경이 조성됐지만 시점이 불투명해지며 관련 기대감이 소멸됐다”면서도 “여전히 중국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한 만큼 중국 시장 개방 시 공연에서 업사이드가 가장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연금은 아모레퍼시픽(090430)의 보유 비중도 6.4%에서 7.42%로 1.02%포인트 늘렸다. 국내 화장품 업체 역시 북미 시장으로 판로를 확대하며 관세 부과 우려가 제기됐지만, 증권가에선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관세가 부과된다고 하더라도 한국 화장품의 판매가 저조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미국이 선호하는 K뷰티의 가격군 기준 0.5~1달러 수준의 비용이 증가하는데, 소비자에게 와 닿는 차이가 별반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국민연금은 국내에서 택배 사업을 영위, 관세 리스크가 작은 CJ대한통운(000120)의 보유 비중도 11.02%에서 11.54%로 0.52%포인트 늘렸다.
이외에 한국은행은 연내 1~2회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시사한 가운데, 국민연금은 금리 인하가 호재로 작용하는 종목의 비중도 확대했다. 삼성증권(016360)(12.61→13.41%), HDC현대산업개발(294870)(11.82→12.59%) 등 증권 및 건설주들은 금리가 인하되면 시장 활성화로 수혜가 기대된다.
김응태 기자yes010@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19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31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1
- 마켓 나우 1부 (20250321)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2
- 김현구의 주식 코치 1부 (202503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0
- 마켓시그널 (20250320)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18
- 주식 클래스 (2025031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19
- 마켓시그널 (2025031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19
- 마켓 나우 1부 (2025031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1
- 마켓 나우 3부 (20250321)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