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전경련 “탄소중립 관련 전문가 조사 결과..원전 유지·확대 의견”

입력시간 | 2021.10.20 오후 4:54:43
수정시간 | 2021.10.20 오후 4:54:43
  • 전경련, 에너지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 에너지 전문가 10명 중 9명 “원전 비중 유지·확대해야”
  • 감축 목표 상향으로 국가 경제 전반 악영향 우려
  • 주요 기술들 2030년까지 상용화 가능성 낮아

20일 이데일리TV 뉴스 방송

앵커> 에너지 전문가의 94%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고려할 때 원전 비중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 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이지혜 기자!

기자> 네 보도붑니다.

앵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했다고요?

기자> 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오늘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NDC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는 한국에너지학회, 한국원자력학회 등 에너지학회 회원 11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는데요,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10명 중 9명이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목표를 고려하면 `원자력 발전 비중을 유지하거나 지금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확대 의견이 79.3%, 유지가 15.5%로 확대 의견이 압도적이었습니다.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무탄소 에너지원의 확대와 적절한 조합이라는 겁니다.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최대 70.8%로 확대하고 원자력 발전을 최대 7.2%로 축소하는 정책 시나리오에 대해 전기요금이 50% 이상 인상될 수 있다고 평가한 응답자가 66.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인터뷰: 류성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전략팀장]

“2050년 원전 비중을 6%까지 축소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70%로 확대하는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기업들은 급격한 전기요금 인상과 전기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지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탄소중립기본법에 명시된 ‘35% 이상 의무 감축’에 대해선 목표가 과도하며, 국가 경제와 산업 전반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철강, 석유화학·정유, 시멘트 업종은 매우 부정적이라는 응답률이 60%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또 탄소감축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습니다. 주요 탄소감축 기술이 2030년까지 상용화 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한 전문가가 많은 가운데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의 경우 상용화 가능성을 낮게 본 전문가가 70%에 달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지혜 기자jhlee26@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동하

    수익! 이제는 종가베팅 매매가 답이다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Best 방송예정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