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5분 늦으면 연가 5분 써요"…숨 막히는 현실

입력시간 | 2025.05.13 오후 5:27:30
수정시간 | 2025.05.13 오후 7:01:41
  • [지금 금융가는]'5분 연가' 쓰는 금융위 직원들
  • 점심 5분 늦으면 ‘연가 5분’…감사 지적에 생겨
  • "어차피 다 못 쓸 연차…분 단위로 쪼개서 쓴다"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요즘 점심 5분 늦으면 연가 5분 씁니다. 분 단위로요.”

최근 금융위원회 내부에서 ‘5분짜리 휴가’가 일상화되고 있다. 직원들이 점심시간 이후 복귀가 조금만 늦어져도 연가를 ‘분 단위’로 입력해 처리하는 문화가 확산한 것이다. 외부인의 눈에는 다소 낯설고 촘촘한 복무관리 방식이지만 그 이면에는 지난해 있었던 감사원의 기관감사와 대선을 앞둔 공직기강 강화 흐름이 맞물려 있다.

(이미지=챗GPT)

금융위 중간 간부 A씨는 최근 점심 약속을 5분 늦게 끝내고 돌아와 ‘연가 5분’을 올렸다. 그는 “내부적으로 복무 점검이 강화됐고 시스템상으로도 출입 기록이 남다 보니 조금이라도 어긋나는 건 그냥 선제적으로 처리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변화는 지난해 감사원이 공개한 금융위 기관감사에서 비롯됐다. 당시 감사원은 일부 직원의 외출·조퇴 기록 누락, 점심시간 이후 복귀 지연, 연가·출장 처리 기준 불명확 등을 지적했다. ‘시간관리에 느슨하다’는 꼬리표가 붙자 금융위는 곧장 복무지침을 손봤다. ‘분 단위’ 연가 사용을 장려한 셈이다.

특히 대선 국면에서 공직기강이 더 민감해진 것도 한몫했다. 정부 조직 전반에 ‘사소한 것도 투명하게’라는 기조가 퍼지며 금융위 역시 내부 단속에 고삐를 죄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를 지켜보는 직원들은 씁쓸하다며 자조한다. 연말이 다가올수록 ‘연차 포기 각’을 세우는 게 익숙해지는 모습이다. 금융위 한 직원은 “어차피 다 못 쓸 거 이렇게라도 쓰면 문제 될 일 없고 마음도 편하다”며 “서글프지만 합리적이다”고 했다.

실제로 금융위의 연차 소진율은 낮은 편이다. 2023년 기준 금융위 전체 직원의 평균 연차 사용률은 60%대 초반으로, 중앙부처 평균(약 72%)에 못 미친다. 바쁜 일정과 높은 업무 강도, 정책 결정기관으로서의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한편에서는 이런 문화가 결국 조직 생산성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위 한 간부는 “연가를 눈치 보면서 분 단위로 쪼개 쓰는 조직이 유연한 조직일까. 과도하게 경직된 건 아닐까 고민해 볼 지점이다”고 했다. 또 다른 직원은 “자율이 아니라 자동 반응처럼 돼버린 게 문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공무 조직 특성상 기본 복무기강이 중요하다는 반론도 있다. 감사원 지적 이후 시스템 개선은 당연한 절차였고 외부 오해를 사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는 것이다.

최정훈 기자hoonism@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Best 방송예정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방송예정
  • (테스트04)

    테스트04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