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유급 D-2…교육부-의대협 만남 무산, 시점 놓고 엇갈려
- 오는 30일, 의대생 집단 유급 시한 도래
- 의대협 "5월 1~2일 중 간담회 열자" 제안
- 교육부 "30일 전 복귀 유도 위해 조기 만남 필요"
- "학사 유연화 오해 막아야…5월 초 만남 부적절"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교육부가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시한을 이틀 앞두고 의대생 단체와의 만남을 재차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의대생 단체는 유급 시한이 지난 직후인 5월 초 만남을 제안했지만, 30일까지 학생 복귀를 유도해야 하는 교육부는 대화 시기를 조정하자고 했고 양측 입장이 엇갈리면서 만남은 성사되지 못했다..

같은 날 교육부는 기자단 공지를 통해 의대협에 보낸 답변 일부를 밝혔다. 답변에서 교육부는 “학생들과의 대화와 소통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변함없다”면서도 “학생들이 4월 30일자로 복귀를 결정하는 데 있어 5월 2일 만남은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대협과의 만남은 시기를 조금 뒤로 미루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 25일 의대협은 교육부의 간담회 제안에 ‘5월 1일’ 또는 ‘5월 2일’ 중 간담회를 개최하자고 응답했다. 이 시점은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시한인 4월 30일 직후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30일 이전에 간담회를 열자며 일정을 앞당길 것을 제안했다. 이에 이날 오후 8시 30분, 의대협은 5월 2일 만날 것을 재차 요구했다.
같은 날 오전 진행된 교육부 정례 브리핑에서도 관련 질문이 나왔다. ‘유급 데드라인인 오는 30일을 넘기면 의대협과 만나지 않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국장)은 “학생들이 만나자고 하면 교육부가 만나지 않을 이유는 없다”면서도 “5월 초 만남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어 “5월 1~2일이나 5월에 만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의대협이 물밑에서 유급 면제 등 학사 유연화 조치를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을 의식한 발언이다. 그는 “5월 초에 약속을 잡는다면 학생들에게 학사 유연화 협상 가능성 등 오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 만날 의향은 있지만 유급 시한인 4월 30일 직후 만남이라면 시기를 조정하자고 의대협에 직접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학사 유연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부총리와 의대협 간 면담이 성사될 경우 학사 유연화 조치가 논의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김 국장은 “그럴 가능성은 0%”라고 못 박았다.
또한 “교육부가 의대협과 학사 유연화 조치를 물밑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은 사실무근”이라며 “의대협을 믿고 복귀하지 않아도 된다는 식의 소문이 퍼지고 있지만, 교육부는 학장단을 통해 학사 유연화는 논의하거나 언급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17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 (사진=연합뉴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8일 밤 입장문을 내 “지난 25일부터 세 차례에 걸쳐 5월 2일 만남을 제안했으나 교육부 의대교육국에서 이날 저녁 최종적으로 거절했다”고 밝혔다.같은 날 교육부는 기자단 공지를 통해 의대협에 보낸 답변 일부를 밝혔다. 답변에서 교육부는 “학생들과의 대화와 소통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변함없다”면서도 “학생들이 4월 30일자로 복귀를 결정하는 데 있어 5월 2일 만남은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대협과의 만남은 시기를 조금 뒤로 미루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 25일 의대협은 교육부의 간담회 제안에 ‘5월 1일’ 또는 ‘5월 2일’ 중 간담회를 개최하자고 응답했다. 이 시점은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시한인 4월 30일 직후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30일 이전에 간담회를 열자며 일정을 앞당길 것을 제안했다. 이에 이날 오후 8시 30분, 의대협은 5월 2일 만날 것을 재차 요구했다.
같은 날 오전 진행된 교육부 정례 브리핑에서도 관련 질문이 나왔다. ‘유급 데드라인인 오는 30일을 넘기면 의대협과 만나지 않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국장)은 “학생들이 만나자고 하면 교육부가 만나지 않을 이유는 없다”면서도 “5월 초 만남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이어 “5월 1~2일이나 5월에 만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의대협이 물밑에서 유급 면제 등 학사 유연화 조치를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을 의식한 발언이다. 그는 “5월 초에 약속을 잡는다면 학생들에게 학사 유연화 협상 가능성 등 오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 만날 의향은 있지만 유급 시한인 4월 30일 직후 만남이라면 시기를 조정하자고 의대협에 직접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학사 유연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부총리와 의대협 간 면담이 성사될 경우 학사 유연화 조치가 논의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김 국장은 “그럴 가능성은 0%”라고 못 박았다.
또한 “교육부가 의대협과 학사 유연화 조치를 물밑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은 사실무근”이라며 “의대협을 믿고 복귀하지 않아도 된다는 식의 소문이 퍼지고 있지만, 교육부는 학장단을 통해 학사 유연화는 논의하거나 언급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김윤정 기자yoon95@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3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423)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시그널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1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2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파이널 샷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3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애프터 마켓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코인 트렌드 (20250422)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