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넥스트 HBM' CXL D램 선점 속도 낸다

입력시간 | 2025.04.23 오후 5:51:54
수정시간 | 2025.04.23 오후 6:53:30
  • CMM-DDR5 96GB 고객사 최종 인증
  • 용량·대역폭↑…초당 36GB 정보 처리
  • '선택과 집중'… AI 메모리 제품군 확대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넥스트 HBM’으로 불리는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시장 선점에 나섰다. CXL 2.0 기반의 D램 모듈 고객 인증을 마친 것이다. 비메모리는 줄이는 대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메모리는 강화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 빛을 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의 CMM-DDR5 96GB.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최근 CXL 2.0 기반 D램 솔루션인 CMM(CXL Memory Module)-DDR5 96GB(기가바이트) 제품의 고객사 인증을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서버 시스템에 이 제품을 적용하면 기존 DDR5 모듈 대비 용량이 50% 늘고 제품 자체의 대역폭은 30% 확장돼 초당 36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구축·운영하는 고객사가 투입하는 총소유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초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내에 고객 인증을 마치고 양산에 나선다는 방침이었으나, 고객사와 인증 마무리 절차에 시간이 다소 걸리면서 이번에 최종 인증 소식을 받았다. SK하이닉스는 고객사 수요에 맞춰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인텔, AMD 등 중앙처리장치(CPU) 업체들과 협력해 최종적으로는 데이터센터 기업들에 제품을 공급한다.

CXL D램은 CXL 인터페이스에 특화한 메모리다. CXL은 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반도체의 인터페이스로 일종의 통신 언어다. 반도체 칩에는 연산에 필요한 메모리가 탑재돼 있는데, 지금은 칩끼리 인터페이스가 달라 각자 칩이 가진 메모리만 쓸 수 있다. 그러나 CXL로 인터페이스를 통일하면 CPU가 GPU에 붙은 메모리도 빌려 연산에 활용해 용량 확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른바 ‘메모리 풀링’ 기능이다. HBM이 정보의 고속도로를 대폭 늘린 제품이라면, CXL은 메모리 용량을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고 빌려 쓰는 방식이다.

업계 안팎에선 AI 메모리에 대한 SK하이닉스의 선택과 집중 전략이 성과를 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최근 비주력 분야인 CMOS 이미지센서(CIS) 사업 등은 정리했다.

(그래픽=김일환 기자)

김응열 기자keynews@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Best 방송예정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윤환식[단타마스터]

    시장이 좋든 안 좋든 꾸준한 수익 목표 달성!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방송예정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