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폰 해지되고 5000만원 출금…“유심 유출과 무관”
- SKT 사용하던 휴대폰 해지되고 갑자기 먹통
- 이후 5천만원 빠져나간 범죄에 경악
- “SKT 유심 유출 아닌 스미싱 공격 당한 것”
[이데일리 강소영 기자] 부산에서 SK텔레콤을 사용하던 남성의 휴대전화가 개통된 뒤 5000만 원이 빠져나간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이는 최근 유심 유출 사건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A씨는 지난 22일 자신이 쓰던 SKT 휴대전화가 갑자기 계약 해지되면서 본의 명의로 KT 알뜰폰이 새로 개통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계좌에서 1000만 원 씩 총 5000만 원이 모르는 사람에게 이체된 것을 발견했고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함과 동시에 경찰에 신고했다.
IT 당국에 따르면 A씨는 문자를 위장한 피싱 문자 속 링크를 눌렀다가 개인 정보를 해킹한 스미싱 공격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해당 계좌이체 사건은 SK텔레콤 서버 해킹으로 인한 유심 정보 유출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SK텔레콤은 내부망 해킹 공격으로 고객 유심(USIM) 정보 등이 대거 유출돼 이날부터 가입자 2500만 명에 대한 유심칩 무료 교체에 나섰다.
SKT 측은 먼저 고객들에 유심 불법 복제를 막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독려하기도 했는데, 서울의 한 T월드 매장 관계자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중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보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에는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가 개설돼 하루 만에 3000명이 가입했다. 카페 운영진은 집단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SKT 유심 해킹 공동대응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됐으며, 해당 홈페이지 운영진 등은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 규모 파악, SK텔레콤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운영진은 “유출된 정보는 휴대전화 번호 인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금융,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중대한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SK텔레콤의 대응은 매우 미흡하다”며 “명확한 피해 범위나 규모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이용자들의 불안감과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실효성 있는 피해 구제·재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경찰에 따르면 부산의 60대 남성 A씨가 자신도 모르는 새에 알뜰폰이 개통돼 계좌에서 5000만 원을 갈취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A씨는 지난 22일 자신이 쓰던 SKT 휴대전화가 갑자기 계약 해지되면서 본의 명의로 KT 알뜰폰이 새로 개통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계좌에서 1000만 원 씩 총 5000만 원이 모르는 사람에게 이체된 것을 발견했고 은행에 지급정지를 요청함과 동시에 경찰에 신고했다.
IT 당국에 따르면 A씨는 문자를 위장한 피싱 문자 속 링크를 눌렀다가 개인 정보를 해킹한 스미싱 공격을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해당 계좌이체 사건은 SK텔레콤 서버 해킹으로 인한 유심 정보 유출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SK텔레콤은 내부망 해킹 공격으로 고객 유심(USIM) 정보 등이 대거 유출돼 이날부터 가입자 2500만 명에 대한 유심칩 무료 교체에 나섰다.
SKT 측은 먼저 고객들에 유심 불법 복제를 막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독려하기도 했는데, 서울의 한 T월드 매장 관계자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 중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보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에는 ‘SK텔레콤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가 개설돼 하루 만에 3000명이 가입했다. 카페 운영진은 집단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SKT 유심 해킹 공동대응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됐으며, 해당 홈페이지 운영진 등은 국회 국민동의 청원에 철저한 진상규명과 피해 규모 파악, SK텔레콤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했다.
운영진은 “유출된 정보는 휴대전화 번호 인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금융,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중대한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SK텔레콤의 대응은 매우 미흡하다”며 “명확한 피해 범위나 규모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어 이용자들의 불안감과 혼란이 증폭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실효성 있는 피해 구제·재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강소영 기자soyoung7@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3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423)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시그널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1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2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파이널 샷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마켓 나우 3부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애프터 마켓 (2025042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4.22
- 코인 트렌드 (20250422)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