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내년 상반기 유가 100달러 간다”…물가 ‘비상’

입력시간 | 2021.10.21 오후 9:01:37
수정시간 | 2021.10.21 오후 9:01:37
  • 국제유가, 7년 만에 최고치…추가 상승 전망
  • 9월 PPI, 6개월 연속 최고치…소비자물가 3%대 전망
  • "실질소비력 감소·이자부담 확대 등으로 가계경제 악영향"

<앵커>

국제유가가 고공 행진 중인 가운데 내년 상반기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가뜩이나 치솟는 물가에 서민들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는데요. 물가 대란마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유재희 기자!

<기자>

네 보도붑니다.



<앵커>

간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83.87달러로 마감하며 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내년 상반기 100달러 돌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최근 국제유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최근 유가의 고공 행진은 공급 부족 압력으로 원유 재고가 감소한 여파입니다.

연말 쇼핑 대목으로 갈수록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급 부족 압력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주요 산유국의 증산이 중요한 데 산유국들은 증산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실제 세계 2위 산유국인 이라크의 이산 압둘자바르 석유장관은 “글로벌 원유 재고량을 늘리는 것은 시장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며 “내년 상반기 국제유가가 100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문제는 유가발 물가상승입니다.

오늘 오전 발표된 9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11개월 연속 상승한 것은 물론 6개월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이는 결국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정부에서도 이달 물가상승률이 3%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3%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한다면 2012년 2월 이후 근 10년 만에 처음 일이 됩니다.

이런 물가상승이 가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영익 서강대 교수 이야기들어보시죠.

[인터뷰] 김영익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물가가 오르면 실질소비력이 줄어드니까 소비를 더 줄일수 밖에 없는거고, 또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릅니다. 우리 가계부채가 높은데 그만큼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그래서 소비가 줄어드는..”

집값 급등에 따른 주거비 부담과 신선식품 상승으로 서민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석유류와 공산품 가격 상승세도 심화될 조짐이어서 서민들의 생계비 걱정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보도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유재희 기자jhyoo76@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유료방송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유료방송
  • 김동하

    수익! 이제는 종가베팅 매매가 답이다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Best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승부사!!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선물옵션+주식 동시 진행]

    방송예정
  • 문주홍

    대장주 집중! 포트폴리오 비중 투자로 투자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
  • 예병군

    눈으로 보이지 않는 가치에 투자하라!

    방송예정
  • 정재훈

    기업 탐방을 통한 종목 발굴/시장의 변화에 따른 투자 전략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