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국민 3명 중 1명 챗GPT 써봤다…90% "신뢰도 보통 이상"

입력시간 | 2023.03.20 오후 6:15:06
수정시간 | 2023.03.20 오후 6:15:06

국민 3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챗GPT'(ChatGPT)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데일리TV.

[이데일리 문다애 기자] 국민 3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챗GPT’(ChatGPT)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0대부터 60대까지 성인 10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챗GPT를 한 번 이상 사용해 본 국민은 35.8%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챗GPT 사용 경험’을 묻는 말에 ‘호기심에 한두 번 사용해 봤다’는 답변이 30.2%,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 중’이라는 답변이 5.6%로 집계됐습니다.

세대별로 보면 X세대(1975~1984년생) 42.2%, MZ세대(1985~2010년생) 40.2%, 베이비부머 세대(1974년 이후 출생) 29.2% 순으로 ‘한 번 이상 사용해 봤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습니다.

특히 국민 10명 중 9명 정도가 챗GPT의 답변에 대해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챗GPT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보통’(62.1%) 혹은 ‘그렇다’(26.5%) 답변이 많았으며, ‘그렇지 않다’(9.7%), ‘매우 그렇다’(0.9%), ‘매우 그렇지 않다’(0.8%)는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챗GPT의 유용한 기능’으로는 ‘정보검색’(50.7%) ‘아이디어 확보(영감얻기)’(15.3%) ‘작문·대필’(11.9%) ‘코딩’(11.3%) ‘요약’(7.9%)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전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꼽은 3대 미래유망산업은 산업 전반에 걸쳐 융복합 영역 및 적용범위가 방대해 미래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집약 업종”이라며 “챗GPT 열풍, 전기차 확산, 저출산 심화에 따른 대체인력 필요성 등 일상생활과 접목된 사회변화상도 국민들의 유망산업 선정에 큰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다애 기자dalove@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Best 방송예정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