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이 조기 퇴사하는 이유

입력시간 | 2025.05.13 오전 9:07:43
수정시간 | 2025.05.13 오전 9:19:42
  • 인크루트, 신입사원 조기퇴사 관련 조사
  • 퇴사 이유 1순위 ‘직무 적합성 불일치’
  • 조기퇴사 방지 프로그램 운영 35% 그쳐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 사원이 입사 1~3년 내 퇴사하는 ‘조기 퇴사’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



13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이 1~3년 이내라는 응답이 60.9%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4개월~1년 미만’(32.9%), ‘3개월 이하’(6.3%) 순이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58.9%로 ‘직무 적합성 불일치’였다. 2위는 42.5%로 ‘낮은 연봉’, 3위는 26.6%로 ‘맞지 않은 사내 문화’의 이유를 꼽았다. 그 외 △상사 및 동료 인간 관계(23.4%)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부족(17.1%) △기타(7.7%) 순이었다.

(그래픽=인크루트)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80.5%가 그렇다고 답했다. 나머지 19.5%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32.0%)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기타(0.6%) 순이었다.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은 ‘50만원 이하’(35.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순위는 ‘300만원 초과’(21.5%)로 기업마다 채용 비용의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50만~100만원(17.5%) △200만~300만원(12.6%) △100만~200만원(12.6%) 순이었다.

다만 인사 담당자의 34.5%만이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문제가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이를 해결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 중인 프로그램은 △장려금 및 포상 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으로 조사됐다.
김경은 기자gold@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Best 방송예정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방송예정
  • (테스트04)

    테스트04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