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뜨거운 물가 속 러·우 종전 가능성…환율 1450원 지속[외환브리핑]
- 역외 1451.5원…0.1원 하락 출발 전망
- 야간장서 1459원까지 치솟아
- 美소비자물가 예상 상회, 연 1회 인하 그칠 듯
- 트럼프-푸틴 통화에 종전 협상 제기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1450원 레인지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올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도 줄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을 거란 기대감에 달러 강세가 완화돼, 환율도 하락이 우세할 것으로 보인다.
![](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02/PS25021300384.jpg)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56.0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53.4원)보다는 2.6원 올랐다. 야간장에서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발표되자 환율은 1459.0원까지 상승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웃돈 결과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도 전월대비 0.4% 상승하며 예상치(0.3%)를 상회했다.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뜨거운 물가에 시장에선 연준이 금리를 보다 오랫동안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해 단 한 차례 금리인하만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3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97%로 반영하고 있다. 10월 금리가 25bp 이상 내려갈 확률은 76.7%다.
소비자물가 발표 직후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가 더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달러 강세가 나타났다. 달러인덱스는 한때 108.5선을 웃돌기도 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다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관측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야간 거래 종료를 앞두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치솟았던 달러는 다시 내려왔다. 달러인덱스는 12일(현지시간) 오후 6시 13분 기준 107.98을 기록하고 있다.
아시아 통화는 약세다. 달러·엔 환율은 154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31위안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가능성이 커지면서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95달러(2.66%) 하락한 배럴당 71.3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1.82달러(2.36%) 떨어진 배럴당 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달러 강세 부담이 완화되면서 환율도 하락이 우세하다. 하지만 엔화가 유독 약세를 나타내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여전히 불확실해 환율이 1440원대로 안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02/PS25021300384.jpg)
사진=AFP
13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51.5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1.8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53.4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0.1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56.0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53.4원)보다는 2.6원 올랐다. 야간장에서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발표되자 환율은 1459.0원까지 상승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오른 것으로,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웃돈 결과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도 전월대비 0.4% 상승하며 예상치(0.3%)를 상회했다.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뜨거운 물가에 시장에선 연준이 금리를 보다 오랫동안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해 단 한 차례 금리인하만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는 3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97%로 반영하고 있다. 10월 금리가 25bp 이상 내려갈 확률은 76.7%다.
소비자물가 발표 직후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가 더 미뤄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달러 강세가 나타났다. 달러인덱스는 한때 108.5선을 웃돌기도 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했다는 보도가 전해지면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관측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야간 거래 종료를 앞두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치솟았던 달러는 다시 내려왔다. 달러인덱스는 12일(현지시간) 오후 6시 13분 기준 107.98을 기록하고 있다.
아시아 통화는 약세다. 달러·엔 환율은 154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31위안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가능성이 커지면서 급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95달러(2.66%) 하락한 배럴당 71.3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1.82달러(2.36%) 떨어진 배럴당 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달러 강세 부담이 완화되면서 환율도 하락이 우세하다. 하지만 엔화가 유독 약세를 나타내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여전히 불확실해 환율이 1440원대로 안착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정윤 기자jyoon@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8
- 김현구의 주식 코치 1부 (2025020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시그널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10
- 마켓시그널 (20250210)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8
- 이난희의 333 (2025020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 나우 1부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 나우 2부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 나우 3부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파이널 샷 (20250207)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주식와이프
▶주식과 결혼하세요◀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주식와이프 천생연분
▶주식과 결혼하세요◀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
장창민
리스크 Zero 매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