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美 AI칩 수출 제한은 역효과…中화웨이만 키운다”

입력시간 | 2025.05.07 오전 7:27:36
수정시간 | 2025.05.07 오전 8:45:25
  • [2025 밀컨 글로벌 컨퍼런스]
  • “美기술이 글로벌 AI 표준플랫폼되려면 개방성 필요"
  • “AI기술 공급없으면 학습기회 잃어..고객과 상호작용 중요”
[베벌리힐스=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은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가 중국 견제 효과는 제한적인 반면, 글로벌 기술 주도권 확보에는 장애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김상윤 특파원)

황 CEO는 6일(현지시간) 캘리포이나주 베벌리힐스에서 열린 2025 밀컨연구소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AI 기술이 국가 안보에 직결된다는 점에서 일부 국가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려는 정책 기조는 이해한다”고 전제하면서도 “정작 적대국의 군사 역량은 이미 내부적으로 상당한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고 있어, 추가 수출 제한이 의미 있는 억지력이 되긴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특정 국가에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더 이상 판매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나라가 이미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황 CEO는 미국 기술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표준 플랫폼’이 되도록 개방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AI 기술 수출을 제한하면, 그 시장은 결국 다른 누군가가 차지할 것이다”며 “엔비디아가 빠지면 해당 생태계는 통째로 경쟁사에게 넘어가게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중국 시장에 대해 그는 “단일 시장 기준으로도 약 500억 달러 규모의 수요가 존재한다”며 “경제적 손실뿐 아니라 기술적 상호작용 부재에 따른 리스크도 크다”고 지적했다. 황 CEO는 “AI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과의 상호작용이다”며 “기술을 공급하지 않으면, 고객의 피드백도 얻지 못하고 학습 기회를 잃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황 CEO는 미국 정부가 동맹 중심의 안보 우선 정책과 기술 확산을 통한 글로벌 영향력 확대 전략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미국 기술이 세계 표준으로 자리 잡길 원한다”며 “그러려면 AI 기술의 수출과 확산이 필요하다. 폐쇄보다 개방이 경쟁력이다”고 강조했다.
김상윤 기자yoon@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Best 방송예정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