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산불로 서울면적 80% 4.7만㏊ 숲 잿더미(종합)
- 경북·울산·경남 등 영남권 산불 30일 오후 큰 불길 모두 잡혀
- 21일 경남 산청·22일 경북 의성·울산등서 시작…역대급 피해
- 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주택·문화재등 시설 6192곳 태워
[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경북과 경남, 울산 등 영남권을 중심으로 열흘간 이어졌던 역대 최악의 산불이 30일 마침내 종지부를 찍었다. 지난 21일부터 경북 동북부권과 경남 산청·하동, 울산 울주 등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은 서울 면적(6만 520㏊)의 80%에 달하는 4만 7946㏊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또 이번 영남권 산불로 사망 30명, 부상 45명 등 모두 75명이 죽거나 다쳤으며 한때 3만여명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화해 태풍급 속도로 경북 북동부권 4개 시·군에 번졌던 경북의 ‘괴물 산불’도 1주일 만인 지난 28일 주불이 진화됐다. 성묘객 실화로 의성 한 야산에서 피어오른 이 불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초속 10m 넘게 불어닥친 강풍에 몸집을 키워 80㎞ 떨어진 동해안까지 밀어붙였다.
이 산불은 북쪽에 있는 안동·영양과 동쪽에 있는 청송·영덕 등을 차례로 초토화시켰다. 이후 지난 27일 현장에 내린 ‘단비’에 5개 시·군 주불은 발화 149시간 만에 제압됐다. 이 불로 의성 1만 2821㏊, 안동 9896㏊, 청송 9320㏊, 영양 5070㏊, 영덕 8050㏊ 등 경북 동북부의 산림 4만 5000여㏊를 태웠다.

경남 산청 산불도 발생 213시간 만인 30일 오후 큰 불길이 모두 잡혔다. 지난 21일 오후 3시 28분경 경남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은 열흘간 이어졌다. 이 산불로 산청 1158㏊, 하동 700㏊ 등 모두 1858㏊의 산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산불 발생 당시 현장에는 초속 13.4m에 이르는 강한 바람 때문에 매우 빠르게 확산됐으며, 이튿날인 22일부터는 다른 능선으로 비화(飛火)해 하동까지 영향을 미쳤다.
지리산 권역인 산불 현장에는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으로 헬기가 많은 물을 투하해도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 또 해발 900m의 높은 봉우리에 위치해 접근을 위해 필요한 임도가 없고 진화대원의 이동을 막는 활엽수 낙엽층과 밀도가 높은 작은 나무와 풀들로 인해 진화인력의 현장 투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상자 규모도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울산·경북·경남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사망 30명, 부상 45명 등 모두 75명이 죽거나 다쳤다. 지역별로는 경남 산청은 사망 4명, 부상 10명, 경북 의성이 사망 26명, 부상 33명, 울주 온양은 부상 2명이다. 피해시설은 총 6192개소로 집계됐다. 주택피해가 339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소 3265건, 반소 53건, 부분소 79건이다. 농업시설은 2114곳, 사찰 13곳, 문화재 18곳, 기타 650곳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국가 유산은 국가지정이 11건(보물 2, 명승 3, 천연기념물 3, 국가민속문화유산 3), 시도지정이 19건(유형문화유산 3, 기념물 3, 민속문화유산 5, 문화유산자료 8) 피해를 입었다.

29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 한 야산이 산불로 인해 검게 변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오후 3시 28분경 경남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일원에서 발생, 열흘간 이어진 산불은 30일 오후 1시 큰 불길이 모두 잡혔다.지난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화해 태풍급 속도로 경북 북동부권 4개 시·군에 번졌던 경북의 ‘괴물 산불’도 1주일 만인 지난 28일 주불이 진화됐다. 성묘객 실화로 의성 한 야산에서 피어오른 이 불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초속 10m 넘게 불어닥친 강풍에 몸집을 키워 80㎞ 떨어진 동해안까지 밀어붙였다.
이 산불은 북쪽에 있는 안동·영양과 동쪽에 있는 청송·영덕 등을 차례로 초토화시켰다. 이후 지난 27일 현장에 내린 ‘단비’에 5개 시·군 주불은 발화 149시간 만에 제압됐다. 이 불로 의성 1만 2821㏊, 안동 9896㏊, 청송 9320㏊, 영양 5070㏊, 영덕 8050㏊ 등 경북 동북부의 산림 4만 5000여㏊를 태웠다.

29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일부가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울산에서도 역대급 피해를 안겼다. 지난 22일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산을 중심으로 발생한 온양 산불은 지난 22일부터 엿새간 임야 등 931㏊를 태우고 진화됐다. 울산에서 발생한 역대 산불 중 가장 피해 면적이 넓다. 울주군 언양읍 화장산에서는 지난 25일 발생한 산불로 이틀간 63㏊의 임야를 태웠다.경남 산청 산불도 발생 213시간 만인 30일 오후 큰 불길이 모두 잡혔다. 지난 21일 오후 3시 28분경 경남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은 열흘간 이어졌다. 이 산불로 산청 1158㏊, 하동 700㏊ 등 모두 1858㏊의 산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산불 발생 당시 현장에는 초속 13.4m에 이르는 강한 바람 때문에 매우 빠르게 확산됐으며, 이튿날인 22일부터는 다른 능선으로 비화(飛火)해 하동까지 영향을 미쳤다.
지리산 권역인 산불 현장에는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으로 헬기가 많은 물을 투하해도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 나는 일이 반복됐다. 또 해발 900m의 높은 봉우리에 위치해 접근을 위해 필요한 임도가 없고 진화대원의 이동을 막는 활엽수 낙엽층과 밀도가 높은 작은 나무와 풀들로 인해 진화인력의 현장 투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상자 규모도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울산·경북·경남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사망 30명, 부상 45명 등 모두 75명이 죽거나 다쳤다. 지역별로는 경남 산청은 사망 4명, 부상 10명, 경북 의성이 사망 26명, 부상 33명, 울주 온양은 부상 2명이다. 피해시설은 총 6192개소로 집계됐다. 주택피해가 339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소 3265건, 반소 53건, 부분소 79건이다. 농업시설은 2114곳, 사찰 13곳, 문화재 18곳, 기타 650곳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국가 유산은 국가지정이 11건(보물 2, 명승 3, 천연기념물 3, 국가민속문화유산 3), 시도지정이 19건(유형문화유산 3, 기념물 3, 민속문화유산 5, 문화유산자료 8) 피해를 입었다.
박진환 기자pow17@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6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326)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마켓시그널 (2025032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9
- 김현구의 주식 코치 1부 (2025032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7
- 마켓시그널 (2025032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5
- 코인 트렌드 (20250325)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5
- 주식 클래스 (20250325)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6
- 마켓시그널 (20250326)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6
- 마켓 나우 1부 (20250326)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