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이틀째 준법투쟁…노사, 접점 못찾아
- 통상임금 입장차 커 교착…전국자동차노조 회의 주목
- 서울시 특별교통대책…상황 예의 주시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 결렬 이후 일주일이 지나도록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조는 이틀째 준법투쟁(준법운행)에 돌입했다. 지난달 30일 한차례 경고성으로 한 데 이어 이달 7일부터 쟁의행위를 재개해 8일에도 진행한 것이다.
서울시, 서울시버스노동조합,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2차 조정회의가 결렬된 뒤 노사 간 교섭은 일주일째 중단된 상태다.
양측은 이달 1~6일 연휴 기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내부적으로 여러 방안을 모색했으나 직접적인 접촉이나 공식적인 협상안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연휴가 끝난 이날도 양측 간 교섭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이는 통상임금을 둘러싸고 입장 차가 크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난해 말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별도의 주장이 없어도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 지급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는 ‘권리분쟁’에 해당해 단체교섭 대상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서울시와 사측은 노조 요구대로라면 총액 기준 20% 이상의 임금 인상이 이뤄지는 셈이어서 수용할 수 없으며, 임금체계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노조는 연휴가 끝나자마자 준법운행을 재개했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는 등 안전이 확보된 것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한편 시민 불편을 줄이고자 사측은 7일 새벽부터 비상운영체계를 가동했다.
시 역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지난 준법투쟁 때와 마찬가지로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1시간 확대 운영해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투입을 47회 늘렸다.
또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등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해 이상 행위를 점검했다.
연휴가 끝난 첫날이라 대중교통 이용이 늘었음에도 비교적 정상적으로 운행이 이뤄진 것으로 사측과 시는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협상 국면은 오는 8일을 기점으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는 8일에도 준법운행을 하되 당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상급단체와 구체적인 쟁의행위 방향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총파업 여부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이달 1~6일 연휴 기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내부적으로 여러 방안을 모색했으나 직접적인 접촉이나 공식적인 협상안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연휴가 끝난 이날도 양측 간 교섭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이는 통상임금을 둘러싸고 입장 차가 크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난해 말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별도의 주장이 없어도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 지급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는 ‘권리분쟁’에 해당해 단체교섭 대상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서울시와 사측은 노조 요구대로라면 총액 기준 20% 이상의 임금 인상이 이뤄지는 셈이어서 수용할 수 없으며, 임금체계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노조는 연휴가 끝나자마자 준법운행을 재개했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는 등 안전이 확보된 것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한편 시민 불편을 줄이고자 사측은 7일 새벽부터 비상운영체계를 가동했다.
시 역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지난 준법투쟁 때와 마찬가지로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1시간 확대 운영해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투입을 47회 늘렸다.
또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등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해 이상 행위를 점검했다.
연휴가 끝난 첫날이라 대중교통 이용이 늘었음에도 비교적 정상적으로 운행이 이뤄진 것으로 사측과 시는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협상 국면은 오는 8일을 기점으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는 8일에도 준법운행을 하되 당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상급단체와 구체적인 쟁의행위 방향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총파업 여부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박태진 기자tjpark@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5
- 이데일리 초대석 (20250505)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7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5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9
- 마켓시그널 (2025050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8
- 마켓시그널 (2025050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7
- 마켓시그널 (202505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3
- 마이머니 (20250503)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7
- 마켓 나우 1부 (202505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5.07
- 마켓 나우 2부 (20250507)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