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305만원 평생"…국민연금 대박 비법 보니[연금술사]

입력시간 | 2025.08.02 오전 8:00:11
수정시간 | 2025.08.02 오전 9:07:37
  • 은퇴 후 월 300만원 받으려면…비법1
  • 국민연금 제도 초기가입자 혜택 플러스
  • 연금 연기제도 1년 지연시 연 7.2% ‘+’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원리부터 투자비법에 관한 모든 것을 연재합니다. 안정적 노후 설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편집자 주>

이미지=제미나이 AI 제작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수도권에 사는 67세 이모씨의 통장에는 지난 1월부터 매달 305만원이 입금되기 시작했습니다. 무슨 돈일까요? 바로 국민연금입니다. 그는 어떻게 월 300만원씩 받게 됐을지를 앞으로 3회에 걸쳐 파헤쳐보고자 합니다.

비법 제1장은 장기가입이다.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보험료를 내야만 노령연금 수급 권리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입 기간이 길수록, 낸 보험료가 많을수록, 소득대체율이 높을수록 수령 금액이 커집니다.

이씨는 1988년 국민연금 도입부터 2017년까지 30년 가입자입니다. 여기에 임의계속 가입을 포함해 총 32년이나 국민연금을 냈습니다. 지난해 3월 기준 전체 수급자 평균이 19.75년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일반인보다 12년 이상 국민연금을 더 쌓아온 것입니다. 오래 많이 낸 만큼 은퇴 후 많은 연금을 확보한 셈입니다. 여기에 초기 가입자의 혜택까지 더해졌습니다. 바로 가입기간 평균 소득 대비 연금 지급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소득대체율입니다.

연금제도 도입 초기 소득대체율은 70%나 됐습니다. 생애 평균소득이 월 100만원이라면 은퇴 후 국민연금으로 월 70만원을 받는 구조였던 셈입니다. 이씨는 1988년부터 1997년까지 10년간 소득대체율 70%를 적용받았습니다. 그런데 이후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기금고갈 우려가 커지자, 지속가능성 확보의 일환으로 1차 개혁을 통해 소득대체율은 1998년 60%로 깎였습니다. 다시 2차 개혁을 통해 2008년부터 60%에서 매년 0.5%포인트씩 떨어져 2028년까지 2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40%까지 하락하게 되는 구조로 변경됐습니다. 현재 소득대체율은 41.5%입니다. 이씨는 소득대체율이 차츰 줄었어도 2017년 소득대체율 45.5%를 적용받아 낸 돈보다 많은 연금소득을 확보한 것입니다.

여기에 ‘노령연금 연기제도’를 활용해 애초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을 5년 뒤로 늦춰서 수령 액수를 늘린 것도 신의 한수였습니다.

지급개시연령은 1953년생부터 점차 상향돼 1969년 이후 출생자부터는 65세에 연금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조기노령연금의 경우 60세에 수령이 가능합니다.

이씨는 조기노령연금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노령연금 지급 연기에 따라 연금액을 가산해 주는 연금 연기제도를 활용해 수령시기를 늦췄습니다.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희망하는 경우 보험료는 더 내지 않고 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출생 연도에 따라 70세까지) 동안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50%, 60%, 70%, 80%, 90% 등 선택 가능)를 늦춰서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기 기간에 따라 연 7.2%(월 0.6%)씩 연금액이 늘어납니다.

1년 늦게 받을 때마다 연 7.2%, 월 0.6%로 합산해 주는데, 현재 금리가 3% 안팎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 높은 금리입니다. 5년을 늦추면 36%를 더 줍니다. 만약 70세부터 연금을 탈 때 36%가 합산된 금액이 출발점이 되고 여기에 매년 물가 인상분만큼 연금액이 올라가므로 65세부터 정상적으로 받는 것에 비해 시간이 갈수록 격차가 더 커집니다.

대략 80세까지 10년을 받으면 손익분기점을 넘어서고, 이후에는 격차가 점점 커지기 때문에 80세 이상 장수하면 연기연금이 유리합니다.

만약 65~69세까지 소득 활동을 한다면, 이 기간에는 굳이 국민연금을 타는 것보다 나중에 아껴뒀다가 타는 것이 유리합니다. 소득 활동을 하는 동안 국민연금을 받으면 손해를 볼 수 있는 ‘소득활동 국민연금 연계 감액제도’ 때문입니다. 이 제도는 본인의 근로, 사업 소득 등이 일정 금액(2024년 기준 월 299만원)을 넘어가면 연금을 감액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소득 활동 기간에는 국민연금을 연기해 놓으면 감액으로 손해 보는 일도 없고, 70세부터 연금액이 더 커지는 만큼 연금 증액을 원할 때 활용 가능합니다.
이지현 기자ljh423@edaily.co.kr

이데일리ON 파트너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Best 방송예정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Best 방송예정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방송예정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방송예정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방송예정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Best 방송예정
  • 김동하

    수익! 이제는 종가베팅 매매가 답이다

    방송예정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방송예정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방송예정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방송예정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방송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