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관리 차원 '스몰컷'…추가 금리인하엔 신중한 파월(종합)
- 기준금리 4.0~4.25%로 내려..한미금리차 175bp
- 파월 "노동시장, 더는 매우 견조하다고 말할수 없다"
- 새로 합류한 마이런, ‘빅컷’ 주장했지만 지지 못받아
- 연준, 올해말 금리 3.6%로 전망...위원간 이견 극심해져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12월 금리인하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내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시장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며 금리인하를 단행한 이유를 밝혔다. 연준은 올해 안에 두 차례 추가 인하 가능성도 내비쳤다. 다만 위원간 의견이 크게 엇갈리고 있어 불확실성이 크다. 보다 공격적인 금리인하를 기대했던 시장이 크게 환호하지 못한 이유다.
새로 합류한 마이런, ‘빅컷’ 주장했지만 지지 못받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 신임 위원인 스티븐 마이런만이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미셸 보먼, 크리스토퍼 월러는 0.25%포인트 인하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4.00~4.25%로 내려갔다. 한국 기준금리(2.5%)와 차이는 175bp로 좁혀졌다. 연준은 다섯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한 이후 올 들어 처음으로 금리를 내렸다.
성명에서 연준은 경제활동이 “둔화됐다”고 다시 언급했으며, “고용 증가세가 둔화됐다”는 표현을 추가했다. 더는 고용시장이 견조하다(solid)는 표현은 사라졌다. 이번 조치는 최근 수개월간 고용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면서 연준의 우려가 인플레이션보다 고용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연준은 동시에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연준의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가 충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명은 또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고용 측면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올해말 예상금리 3.9→3.6%...19명 중 9명은 두차례 인하 지지
연준은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말 기준금리 수준을 지난 6월보다 낮춘 3.6%로 제시했다. 이는 올해 남은 10월과 12월 회의에서 추가로 두차례 금리인하가 가능하다고 연준은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망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정책 변화로 경제 해석이 더 어려워진 환경 속에서 고용시장 균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위원 간 의견 차이는 컸다. 19명의 참석자 중 7명은 올해 추가 인하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고, 2명은 단 한 차례 인하만 반영했다. 9명은 추가 두차례 금리인하를 지지했다. 기준금리가 올해말 까지 금리를 총 1.25%p 추가 인하해 2.8~3.0% 포인트까지 내려가야 한다고 주장한 ‘강성 비둘기’ 위원도 한명있었다. 이는 마이런 이사로 추정된다. 위원간 이견이 크다는 점은 향후 금리인하 궤도가 불확실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더 비관적인 전망도 담겼다. 점도표는 2026년에 한 차례, 2027년에 또 한 차례 인하를 전망했으며, 장기 중립금리는 3% 수준으로 제시됐다.
경제전망은 6월보다 성장률이 1.4%에서 1.6%로 소폭 상향 조정됐으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은 변함이 없었다.
파월, 고용 위험 언급했지만”…연속 금리인하엔 신중론
파월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노동 수요가 약화됐고, 최근의 일자리 창출 속도는 실업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균형 수준 아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제 더 이상 노동시장이 ‘매우 견조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추가 금리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이제 “회의별 상황(meeting-by-meeting situation)”에 있다고 밝혔다. 10월과 12월 회의 전 나오는 물가와 고용 데이터를 보면서 금리인하 결정을 내리겠다는 뜻으로, 올해 확실한 연속적인 금리인하 전망을 기다린 시장엔 실망스러운 멘트였다.
특히 파월 의장은 이번 금리인하가 “리스크 관리 차원의 인하(a risk-management cut)”라고 언급했다. 지금 당장 경제가 크게 나쁘지 않더라도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더 큰 위험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조치라는 의미다. 이 역시 연속적인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발언이다.
매파적인 파월 발언이 달러 가치는 하락폭을 모두 되돌렸고, 국채금리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뉴욕증시 3대지수는 한때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다 현재는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TD 증권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인 젠나디 골드버그는 “파월 의장이 지나치게 비둘기파적으로 들리는 것을 꺼리는 것이 국채금리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특히 파월 의장이 이번 인하를 보험성 인하로 언급하면서 금리가 하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6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 신임 위원인 스티븐 마이런만이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미셸 보먼, 크리스토퍼 월러는 0.25%포인트 인하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4.00~4.25%로 내려갔다. 한국 기준금리(2.5%)와 차이는 175bp로 좁혀졌다. 연준은 다섯차례 연속 금리를 동결한 이후 올 들어 처음으로 금리를 내렸다.
성명에서 연준은 경제활동이 “둔화됐다”고 다시 언급했으며, “고용 증가세가 둔화됐다”는 표현을 추가했다. 더는 고용시장이 견조하다(solid)는 표현은 사라졌다. 이번 조치는 최근 수개월간 고용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면서 연준의 우려가 인플레이션보다 고용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연준은 동시에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연준의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가 충돌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명은 또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며 “고용 측면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연준은 점도표(dot plot)에서 올해말 기준금리 수준을 지난 6월보다 낮춘 3.6%로 제시했다. 이는 올해 남은 10월과 12월 회의에서 추가로 두차례 금리인하가 가능하다고 연준은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망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정책 변화로 경제 해석이 더 어려워진 환경 속에서 고용시장 균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위원 간 의견 차이는 컸다. 19명의 참석자 중 7명은 올해 추가 인하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고, 2명은 단 한 차례 인하만 반영했다. 9명은 추가 두차례 금리인하를 지지했다. 기준금리가 올해말 까지 금리를 총 1.25%p 추가 인하해 2.8~3.0% 포인트까지 내려가야 한다고 주장한 ‘강성 비둘기’ 위원도 한명있었다. 이는 마이런 이사로 추정된다. 위원간 이견이 크다는 점은 향후 금리인하 궤도가 불확실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더 비관적인 전망도 담겼다. 점도표는 2026년에 한 차례, 2027년에 또 한 차례 인하를 전망했으며, 장기 중립금리는 3% 수준으로 제시됐다.
경제전망은 6월보다 성장률이 1.4%에서 1.6%로 소폭 상향 조정됐으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전망은 변함이 없었다.

파월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노동 수요가 약화됐고, 최근의 일자리 창출 속도는 실업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균형 수준 아래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제 더 이상 노동시장이 ‘매우 견조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추가 금리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이제 “회의별 상황(meeting-by-meeting situation)”에 있다고 밝혔다. 10월과 12월 회의 전 나오는 물가와 고용 데이터를 보면서 금리인하 결정을 내리겠다는 뜻으로, 올해 확실한 연속적인 금리인하 전망을 기다린 시장엔 실망스러운 멘트였다.
특히 파월 의장은 이번 금리인하가 “리스크 관리 차원의 인하(a risk-management cut)”라고 언급했다. 지금 당장 경제가 크게 나쁘지 않더라도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더 큰 위험을 미리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추는 조치라는 의미다. 이 역시 연속적인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발언이다.
매파적인 파월 발언이 달러 가치는 하락폭을 모두 되돌렸고, 국채금리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뉴욕증시 3대지수는 한때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다 현재는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TD 증권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인 젠나디 골드버그는 “파월 의장이 지나치게 비둘기파적으로 들리는 것을 꺼리는 것이 국채금리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특히 파월 의장이 이번 인하를 보험성 인하로 언급하면서 금리가 하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상윤 기자yoon@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1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 新대가들의투자비법 (20250910)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2
- MARKET SIGNAL226회(25091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5
- MARKET SIGNAL227회250915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3
- 주식클래스183회25091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2
- 어쨌든 경제4회250912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1
- 애프터마켓129회250911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3
- 주식3대천왕19회250913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9.13
- 이난희의333 125회250913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동하
수익! 이제는 종가베팅 매매가 답이다
-
김선상[주도신공]
1등급 대장주 매매로 고수익 창출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
대박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승부사!!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선물옵션+주식 동시 진행]
-
문주홍
대장주 집중! 포트폴리오 비중 투자로 투자 수익 극대화
-
예병군
눈으로 보이지 않는 가치에 투자하라!
-
정재훈
기업 탐방을 통한 종목 발굴/시장의 변화에 따른 투자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