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웃는 곳도 있다..韓 태양광·합성고무
- 美 대중국 견제 강화로 中에 관세 폭탄 잇따라
- 태양광 업황 회복 기대..비중국산 선호도 증가
- 말레이시아 수출 비중 높은 NB라텍스 반사이익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인 관세 부과로 국내 수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태양광, 합성고무 산업은 오히려 수혜를 입으며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심화하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가 부과되자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가격은 kg당 5.0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대비 0.6% 하락한 수준이지만 전월대비로는 3.1% 상승한 수치다. 또한 태양광용 웨이퍼와 셀 가격도 각각 3.4%, 6,5% 상승해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에서 가격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태양광 시장은 중국산 제품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로 인해 비중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백영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연초 이후 약세를 보이던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이 상승하면서 태양광 산업의 업황 회복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면서 “중국 태양광 기업의 자율적인 가동률 조절과 미국 정부의 동남아산 태양광모듈에 대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올해 1월부터 중국산 웨이퍼와 폴리실리콘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했으며, 트럼프 행정부 역시 지난달 4일부터 추가로 10%포인트를 올렸다. 여기에 추가 10% 인상을 예고하면서 해당 품목의 관세가 최대 70%까지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은 중국이 동남아 국가를 경유해 우회 수출하는 사례를 차단하기 위해 강도 높은 규제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중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흔히 의료 및 수술용 장갑으로 사용되는 라텍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수혜를 받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의 의료 및 수술용 라텍스 장갑 수입량은 전월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산 수입 비중은 12월 35%에서 1월 7%로 급격히 축소됐다. 이는 중국산 장갑에 대한 50% 관세 부과 영향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내년에는 중국산 라텍스 장갑에 대한 관세가 최대 100%까지 부과될 전망이다. 현재 중국산 제품의 빈자리는 말레이시아·태국산 제품이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태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NB(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 생산업체에겐 호재다. NB(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는 라텍스 장갑의 핵심 원료다. 대표적으로 금호석유화학의 경우 글로벌 NB라텍스 시장점유율 25%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80~90%는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고 있다. NB라텍스의 수출 단가도 지난 1월 t당 790달러에서 2월 834달러로 상승 중이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가격은 kg당 5.0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대비 0.6% 하락한 수준이지만 전월대비로는 3.1% 상승한 수치다. 또한 태양광용 웨이퍼와 셀 가격도 각각 3.4%, 6,5% 상승해 태양광 밸류체인 전반에서 가격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태양광 시장은 중국산 제품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로 인해 비중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백영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연초 이후 약세를 보이던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이 상승하면서 태양광 산업의 업황 회복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면서 “중국 태양광 기업의 자율적인 가동률 조절과 미국 정부의 동남아산 태양광모듈에 대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올해 1월부터 중국산 웨이퍼와 폴리실리콘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했으며, 트럼프 행정부 역시 지난달 4일부터 추가로 10%포인트를 올렸다. 여기에 추가 10% 인상을 예고하면서 해당 품목의 관세가 최대 70%까지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은 중국이 동남아 국가를 경유해 우회 수출하는 사례를 차단하기 위해 강도 높은 규제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중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화솔루션의 미국 카터스빌 태양광 공장.
이에 따라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미국 현지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최근 OCI홀딩스는 3840억원을 투자해 미국에 2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 셀 공장을 증설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미국내 태양광 셀 생산 능력이 연간 수요 대비 90% 부족한 상황에서 대중국 관세 강화 가능성이 커지자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화솔루션 역시 앞서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에 대규모 태양광 종합 생산단지인 ‘솔라 허브’를 구축했으며 연내 본격적인 상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흔히 의료 및 수술용 장갑으로 사용되는 라텍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수혜를 받고 있다. 지난 1월 미국의 의료 및 수술용 라텍스 장갑 수입량은 전월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산 수입 비중은 12월 35%에서 1월 7%로 급격히 축소됐다. 이는 중국산 장갑에 대한 50% 관세 부과 영향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내년에는 중국산 라텍스 장갑에 대한 관세가 최대 100%까지 부과될 전망이다. 현재 중국산 제품의 빈자리는 말레이시아·태국산 제품이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태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NB(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 생산업체에겐 호재다. NB(니트릴부타디엔) 라텍스는 라텍스 장갑의 핵심 원료다. 대표적으로 금호석유화학의 경우 글로벌 NB라텍스 시장점유율 25%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80~90%는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고 있다. NB라텍스의 수출 단가도 지난 1월 t당 790달러에서 2월 834달러로 상승 중이다.
하지나 기자hjina@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9
- 김현구의 주식 코치 1부 (2025032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마켓시그널 (2025032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31
- 마켓시그널 (20250331)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9
- 이난희의 333 (20250329)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마켓 나우 1부 (2025032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마켓 나우 2부 (2025032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마켓 나우 3부 (2025032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3.28
- 파이널 샷 (20250328)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