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테크 세계 중심, 대한민국…5G처럼 우리가 표준화해야"
- 이기원 월드푸드테크협의회 회장 [인터뷰]
- '개인 맞춤형 식품' 푸드테크'에서 국내 가장 앞서
- 흑백요리사 화제되면 바로 급식·간편식으로 관련 음식 소화
- "유럽은 음식에 기술도입 늦고 미국은 음식문화 없어"
- "사용자 중심으로 융합하고 맛 중심→가치 지향적 생산돼야&quo...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푸드테크에서 우리가 제일 앞서 있다. 우리가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야 한다”
![](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02/PS25021200045.jpg)
푸드테크는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로봇, 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융합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 푸드테크 시장 규모는 약 600조원, 전 세계 시장 규모는 4경원 정도로 추산된다.
월드푸드테크협의회는 푸드테크를 위한 협력적인 생태계를 만들자는 미션을 위해 2000개의 산업체, 대학, 정부 산하기관이 모인 단체다. 이기원 교수와 강승협 신세계푸드 대표, 윤원주 롯데중앙연구소 소장 등이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협회는 최근 글로벌화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취지에서 월드푸드테크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기원 회장은 “유럽의 경우 음식문화는 아주 오래됐지만,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프랜차이즈를 도입하지 않아 아직도 오프라인 매장이나 카페가 중심”이라며 “반면 미국은 기술은 있지만 음식분야 기술 도입은 늦는 편이고 음식문화 역시 뉴욕의 일부 ‘핫 플레이스’를 빼면 햄버거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푸드테크는 우리가 선도할 수 있는 분야라는 얘기다.
푸드테크의 가장 혁신적인 사례를 들어달라는 물음에 이 회장은 넷플릭스 요리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사례를 들었다. 흑백요리사에 등장한 식당 예약이 금세 끝나버리거나 출연진과 관련된 음식을 프랜차이즈, 급식, 편의점 간편식 등을 통해 대중이 빠르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다 푸드테크 덕분이라는 것이다. 그는 “흑백요리사에 나온 셰프가 방송에서 유명세를 타면 스마트폰 하나(캐치테이블)로 해당 식당 예약이 몰려 직접 셰프가 요리해주는 것은 먹기 어렵다”면서도 “국내에서는 해당 셰프가 만든 음식을 프랜차이즈화해서 제공하거나 급식회사에서 급식 메뉴로 제공하거나 편의점에서 간편식으로 팔고 있는데 이런 곳은 대한민국밖에 없다”고 했다.
이 회장은 “5G 이동통신 표준화를 누가 만들었느냐, 대한민국이 가장 먼저 실증하고 인증해서 만들었고 그러면서 대한민국 IT산업이 성공했다”면서 “푸드테크도 우리가 제일 먼저 상용화, 표준화를 해야 하는데 이미 민간에 서비스된 것들이 많은 만큼 민간에서 상용화된 것을 정부가 가져가 표준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대목에서 1인용 피자의 선두 스타트업 ‘고피자’와 로봇이 직접 서빙해 주는 명동 교자 등을 예시로 들었다.
국내 푸드테크의 잠재력을 더 키우는 방안과 관련해선 “각 산업 분야의 전문가가 사용자 중심으로 같이 모여 ‘식품+로봇’, ‘식품+바이오’, ‘식품+나노’ 등 융합을 해야 한다”며 “지금은 식품정책도 농업, 수산업, 임업, 외식업, 제조업 등 공급자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식품회사도 이제까지 내수에 안주하며 바나나맛, 초코맛, 딸기맛 등으로 맛만 바꿔 얘기했지만, 이제는 환경을 생각하거나 헬스케어(건강관리)를 지향하는 등 미래 지향적으로 가치를 얘기하면서 해외 비즈니스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배고픈 시기와 맛있는 시기도 끝나고 이제는 개인의 의미와 가치, 행복, 웰니스(건강·행복·웰빙 총칭) 시기”라고 언급했다.
그는 푸드테크의 핵심은 ‘개인 맞춤형 식품’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전통적인) 식품산업은 육제품, 두유제품, 곡물가공제품 등 원료를 가지고 나눴지만, 푸드테크에서는 ‘20대 남성이 운동을 위해 먹는 음식’, ‘50대 남성이 당뇨를 피하기 위해 먹는 음식’ 등과 같이 영양과 건강과 가치를 고려한 개인화된 음식이나 맞춤형 음식을 추천하고 주문, 배달, 조리, 생산하는 활동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02/PS25021200045.jpg)
이기원 월드푸드테크협의회(구 한국푸드테크협의회) 회장 및 서울대식품공학과 교수(사진=이기원 교수)
이기원 월드푸드테크협의회(구 한국푸드테크협의회) 회장 및 서울대식품공학과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먹는 것에 진심인 데다 조리기술, 로봇기술, 무인화기술, 비전기술, 키오스크 등 새로운 기술을 식품에 적용하는 것을 굉장히 잘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푸드테크는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로봇, 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융합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 푸드테크 시장 규모는 약 600조원, 전 세계 시장 규모는 4경원 정도로 추산된다.
월드푸드테크협의회는 푸드테크를 위한 협력적인 생태계를 만들자는 미션을 위해 2000개의 산업체, 대학, 정부 산하기관이 모인 단체다. 이기원 교수와 강승협 신세계푸드 대표, 윤원주 롯데중앙연구소 소장 등이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협회는 최근 글로벌화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취지에서 월드푸드테크협의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기원 회장은 “유럽의 경우 음식문화는 아주 오래됐지만, 상대적으로 기술이나 프랜차이즈를 도입하지 않아 아직도 오프라인 매장이나 카페가 중심”이라며 “반면 미국은 기술은 있지만 음식분야 기술 도입은 늦는 편이고 음식문화 역시 뉴욕의 일부 ‘핫 플레이스’를 빼면 햄버거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푸드테크는 우리가 선도할 수 있는 분야라는 얘기다.
푸드테크의 가장 혁신적인 사례를 들어달라는 물음에 이 회장은 넷플릭스 요리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사례를 들었다. 흑백요리사에 등장한 식당 예약이 금세 끝나버리거나 출연진과 관련된 음식을 프랜차이즈, 급식, 편의점 간편식 등을 통해 대중이 빠르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다 푸드테크 덕분이라는 것이다. 그는 “흑백요리사에 나온 셰프가 방송에서 유명세를 타면 스마트폰 하나(캐치테이블)로 해당 식당 예약이 몰려 직접 셰프가 요리해주는 것은 먹기 어렵다”면서도 “국내에서는 해당 셰프가 만든 음식을 프랜차이즈화해서 제공하거나 급식회사에서 급식 메뉴로 제공하거나 편의점에서 간편식으로 팔고 있는데 이런 곳은 대한민국밖에 없다”고 했다.
이 회장은 “5G 이동통신 표준화를 누가 만들었느냐, 대한민국이 가장 먼저 실증하고 인증해서 만들었고 그러면서 대한민국 IT산업이 성공했다”면서 “푸드테크도 우리가 제일 먼저 상용화, 표준화를 해야 하는데 이미 민간에 서비스된 것들이 많은 만큼 민간에서 상용화된 것을 정부가 가져가 표준화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 대목에서 1인용 피자의 선두 스타트업 ‘고피자’와 로봇이 직접 서빙해 주는 명동 교자 등을 예시로 들었다.
국내 푸드테크의 잠재력을 더 키우는 방안과 관련해선 “각 산업 분야의 전문가가 사용자 중심으로 같이 모여 ‘식품+로봇’, ‘식품+바이오’, ‘식품+나노’ 등 융합을 해야 한다”며 “지금은 식품정책도 농업, 수산업, 임업, 외식업, 제조업 등 공급자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식품회사도 이제까지 내수에 안주하며 바나나맛, 초코맛, 딸기맛 등으로 맛만 바꿔 얘기했지만, 이제는 환경을 생각하거나 헬스케어(건강관리)를 지향하는 등 미래 지향적으로 가치를 얘기하면서 해외 비즈니스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배고픈 시기와 맛있는 시기도 끝나고 이제는 개인의 의미와 가치, 행복, 웰니스(건강·행복·웰빙 총칭) 시기”라고 언급했다.
그는 푸드테크의 핵심은 ‘개인 맞춤형 식품’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전통적인) 식품산업은 육제품, 두유제품, 곡물가공제품 등 원료를 가지고 나눴지만, 푸드테크에서는 ‘20대 남성이 운동을 위해 먹는 음식’, ‘50대 남성이 당뇨를 피하기 위해 먹는 음식’ 등과 같이 영양과 건강과 가치를 고려한 개인화된 음식이나 맞춤형 음식을 추천하고 주문, 배달, 조리, 생산하는 활동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노희준 기자gurazip@edaily.co.kr
저작권자 © 이데일리 & 이데일리TV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놓치면 안되는 뉴스
지금 뜨는 뉴스
추천 읽을거리
VOD 하이라이트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5
- 신대가들의투자비법 - 성명석 주식 세뇌 탈출 (20250205)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시그널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8
- 김현구의 주식 코치 1부 (20250208)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6
- 마켓시그널 (20250206)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10
- 마켓시그널 (20250210)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 나우 1부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7
- 마켓 나우 2부 (20250207)
-
-
-
- 무료 / 인기 / TOP 2025.02.05
- 마켓 나우 2부 (20250205)
-
이데일리ON 파트너 무료방송
이데일리ON 파트너
-
김선상[주도신공]
실전 최고수들만 아는 기법으로 고수익 창출
-
성명석
주식 상식 다 잊어라!
-
이난희
현금이 곧 기회다!
-
홍프로
홍프로의 시크릿테마
-
서동구
안정적인 수익을 복리로 관리해 드립니다!
-
이시후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 실전 투자의 승부사
-
주태영
대박 수익은 수익을 참고 견뎌야 한다.
-
주식와이프
▶주식과 결혼하세요◀
-
주식와이프 천생연분
▶주식과 결혼하세요◀
-
이재선
개인 투자자들의 경제적 자유를 위한 멘토!
-
김태훈
30년 투자 경험! 실전 투자 가이드 제시
-
박정식
평생 주식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
-
이용철
검색기를 통한 주도주 매매로 수익 극대화 전략
-
주태영[선물]
국내/해외 파생 경력 20년!
추세 지지선 매매로 수익 극대화! -
장창민
리스크 Zero 매매